- 목 차 -
#13. 인터넷의 개념 (출제빈도 : 상)
#14. 인터넷 주소와 도메인 (출제빈도 : 중)
#15. 인터넷서비스와 정보 검색 (출제빈도 : 중)
#16. 웹 브라우저 (출제빈도 : 중)
#13. 인터넷의 개념 (출제빈도 : 하)
세계 인터넷의 역사 부분이 자주 출제되었음
1. 인터넷의 개념과 역사
* 인터넷의 개념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 연동망
TCP/IP 프로토콜 채택
- 프로토콜 : 규약, 약속
클라이언트(데이터 요청) / 서버(데이터 전송)
IP (Internet Protocol)
* 세계 인터넷의 역사 - 서비스 순서 시험에 나옴
1969 인터넷 시초인 ARPANET 시작 - 군사목적
1972 Telnet, FTP 표준 제정. Email 탄생
1979 USENET서비스
1982 TCP/IP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채택
1989 WWW (웹) 개발
1990 Archie 시작
1991 Gopher, WAIS 시작
1992 WWW 시작
1993 최조 GUI 웹 브라우저 모자이크 개발
1994 W3C 넷스케이프 등장
2004 페이스북
2006 트위터
2011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수 20억명 돌파
* 국내 인터넷의 역사
1982 SDN 최초 인터넷 구축
1988 국가기간전산망 교육망(KREN)과 연수전산망(KREONET) 구축
1992 교육망(KREN)과 하나망 연동
1994 인터넷 상용망 서비스 시작
1999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 설립
2004 인터넷사용자 수 3천만명 돌파
2010 한국 IPv6 확보율 OECD 32개국 중 8위
2. 인터넷 서비스
* 주요 인터넷 서비스
전자우편(E-Mail)
텔넷(Telnet)
파일전송(FTP) :
익명 파일전송(anonymous FTP)
아치(Archie)
고퍼(Gopher)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 인터넷 관련 프로토콜
HTTP 인터넷 프로토콜
SMTP 전자우편 송신 프로토콜
POP, IMAP 전자우편 수신 프로토콜
NNTP 뉴스 서비스에서 기사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 인터넷 관련 조직
NIC 각국의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고 관리
W3C WWW서비스의 표준안 제안 및 개발, HTML, XML 표준화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국내 인터넷 주소 관리
#14. 인터넷주소와 도메인 (출제빈도 : 하)
1. 인터넷 주소
* 인터넷 주소 체계
IP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에게 할당된 고유번호. 32bit 주소체계인 IPv4 사용
- 차세대 주소 체계는 128bit의 IPv6
* IPv4 : 8bit 씩 4개 단위로 구성 예)192.168.0.xxx
* IPv6 : IP고갈문제 해결하기 위한 대안. 16bit씩 8개로 구성. 개수는 거의 무한대
2.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 호스트 이름 : IP를 영어로 바꿈.
* 도메인 이름 서비스 Domain Name Service
- DNS는 문자로 구성된 호스트이름과 숫자로 구성된 IP를 일대일 대응시켜주는 서비스.
- 즉, 영어로된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
- 규칙 : 대/소문자 구분없음, 하이픈 사용가능. 쉼표 밑줄 안됨. 영문자나 숫자로만 시작. 하이픈으로 못끝남.
busan | .go | .kr |
3단계 그룹 | 2단계 차상위 | 1단계 최상위 |
* 최상위 도메인 TLD (Top Level Domain) 1단계 도메인
- 도메인 제일 뒤에 붙는 녀석들
- 간단히 몇개만... : .net 네트워크 관리 기관 / .org 비영리 단체, / .gov 미국 연방정부기관 / .edu 교육기관 / .biz : 사업기관 또는 회사
* 차상위 도메인 SLD (Second Level Domain) 2단계 도메인
- 도메인에서 제일뒤에서 두번째에 붙는 녀석들
- .co & .com 영리목적이나 단체나 기업체 / .go 정부기관 공공기관 / .ac 교육기관 대학원 등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 서비스와 파일 등 자원의 위치를 기술하는 표준 주소 형식
- 구성 : 인터넷 서비스 (프로토콜) + 호스트 이름(또는 IP) + 접속 포트번호 + 추가 경로
http | 웹 서비스 이름 |
www | 호스트(컴) 이름 |
tistory | 회사 이름 또는 브랜드 |
com | 기업 |
8080 | 접속 포트번호 |
#15. 인터넷서비스와 정보 검색 (출제빈도 : 중)
1. 웹 서비스
* 웹의 개념 : www (world wide wb)의 줄임말. 문자, 음성,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등 환경을 갖춘 인터넷의 정보 서비스!
- 구성 : 웹 서비스 지원 / 문서 형식 / 표준 언어 / 정보 연결 / 검색도구
웹서버 / 하이퍼텍스트 / HTML, XML 등 / 링크 / 웹 브라우저
* 웹 서비스 관련 기술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
연결 정보가 체계적으로 나타나있는 텍스트 |
홈페이지 Homepage |
웹브라우저 이용. 맨 처음 접하는 화면 |
하이퍼링크 Hyperlink |
하이퍼텍스트에 포함된 연결 정보. 클릭하면 연결된 다른 요소로 이동. |
웹브라우저 Web Browser |
웹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
웹 서버 Web Server |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서버프로그램.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
플러그인 Plug-in |
웹브라우저가 직접 처리하지 못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줄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 : MOV, PDF, SWF 파일 등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자료들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조합해놓은 데이터 집합 |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웹서버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방명록, 게시판 : ASP, JSP, PHP |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
HTML 문서 내에 소스코드를 직접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크립트 언어 |
자바애플릿 Java Applet |
자바언어로 작성, 컴파일된 파일이 서버 상에서 실행. |
자바 Java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2. 정보 검색과 검색 엔진
* 정보 검색 : 정보 내용 파악 - 키워드 추출 - 검색엔진에서 검색 - 검색 결과 분석 - 재검색
시소러스 Thesaurus |
주요 키워드 간 관계를 조직화한 것 |
리키지 Leakage |
검색되어야 하는 정보 중에서 빠진 정보 |
가비지 Garbage |
불필요하게 검색된 쓸모없는 정보 |
불용어 Stop(Noise) Word |
검색 용어로 사용되지 않는 단어나 문자열 |
푸쉬 Push |
사용자 검색 작업 없이 서버가 자동으로 새로운 정보를 전달해주는 기술 |
클리핑 Clipping |
웹페이지 내에서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는 기술 |
미러사이트 Mirror Site |
특정사이트의 정보를 복사해 놓은 사이트 |
로봇에이전트 | 인터넷 상 정보를 자발적 수집. 검색엔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프로그램 Robot, Spider, Crawler 등 |
통합검색 | 검색된 내용을 카페, 블로그, 이미지, 동영상, 사전, 뉴스 등 다양한 섹션별로 분류되어진 형태를 제공 - Naver, Daum, Nate Etc.. |
* 검색엔진
단어별(키워드, 주제어) 검색엔진 | 일반적인 키워드형 |
주제별(디렉터리) 검색엔진 | 대분류-중분류-소분류 계층형태로 찾아들어가는 검색 |
메타 검색엔진 | 중복검색을 하나로 통일되어 보여줌 |
* 검색 연산자 : 기호 사용해서 정보검색을 더욱 효율적으로
- 우선순위 : AND - NOT - OR
AND & |
키워드 둘 다 들어가는 |
OR | |
키워드 둘 중 하나라도 |
NOT ! |
해당 키워드 제외하고 |
NEAR, ADJ | 일정 간격 이내 |
* * | * * 사이안 구문 포함하는 정보 |
* | 단어 일부를 모를때 *로 대체해서 - 절단검색 |
#16. 웹 브라우저 (출제빈도 : 하)
1. 웹 브라우저의 기능
* 웹 브라우저의 종류
모자이크 Mosaic |
최초의 GUI 기반 웹 브라우저 |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Netscape Navigator |
넷스케이프 커뮤티케이션 |
인터넷 익스플로러 Internet Explorer |
마이크로소프트 |
핫 자바 Hot Java |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
오페라 Opera |
오페라 소프트웨어 |
사파리 Safari |
애플 |
파이어폭스 Firefox |
모질라 재단 : 오픈 소스 기반 |
구글 크롬 Google Chrome |
구글 : 오픈 소스 기반 |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종류 섞은 후 문제 나올 수 있음
* 웹 브라우저의 기능
- 웹페이지 열기/저장/인쇄
- HTML 소스 보기
- 최근 방문한 URL 주소 목록 제공
- 택스트, 이미지 및 멀티미디어 지원 기능
- 개인정보 설정 및 쿠키 차단/삭제
- 웹 사이트 인터넷 내용 제한
- 웹 사이트 보안 수준 설정
- 전자우편 및 뉴스그룹 이용
- 관련 프로그램 호출 / 연결
*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능 설정 도구 - 인터넷 옵션 메뉴(일반, 보안, 내용, 개인정보 탭)에 대해서 중요
파일 | 웹 페이지 저장/인쇄 편집 |
|
보기 | 소스보기 새로고침 |
|
즐겨찾기 | 즐겨찾기 저장/관리 | |
도구-인터넷옵션 | 일반 탭 | 검색기록 삭제 언어 추가 글꼴 선택 |
보안 탭 | 보안 설정 보안 수준 설정 |
|
내용 탭 | 인터넷 내용관리 인증서/게시자/자동완성 |
|
개인정보 탭 | 쿠키 차단 설정 판업 차단 설정 |
* 웹 브라우저 오류메시지
403 | 403 Forbidden 접근 금지된 파일 요청. 허가 거부 |
404 | 404 Not Found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 파일 요청시 주로 URL 잘못 입력 |
500 | 500 Internet Server Error 내부 서버 오류로 URL 잘못 명시 |
503 |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 사용 할 수 없음. 서버 폭주 등 |
2. 한글 코드와 인코딩
* 한글 코드
- 한글(KS) 완성형 코드 : 우리나라 국가 표준 한글 코드
- 유니코드(Unicode) :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하는 코드 규약. UTF-8, UTF-16
- 기타 : 유닉스 용 EUC-KR
* 웹 페이지 한글 깨짐 현상
- 항상 UTF-8로 보냄 항목을 해제
- 인코딩 메뉴를 한국어 또는 자동선택으로
- 특성 사이트에서 깨지면 도구-인터넷옵션-일반탭-글꼴 에서 대체 글꼴 선택
* 방화벽(Firewall)과 프록시(Proxy)
- 방화벽 : 네트워크 지날 수 있는것, 없는것 지정 가능. 내부 네트워크 보호.
- 프록시 : LAN과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방화벽 캐시 역할 수행. 데이터 임시 저장소 기능
목차로 이동하기
to be continued...
★자료출처 및 영상참조 : 유튜브 이기적영진닷컴
youtu.be/Uw3wx1zZtFo?list=PLaVgeQDDXCGIGWUPpuzhzNFtJa8_ZnFPY
'about WEB DESIGN > 2021 웹디자인기능사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디자인기능사 필기핵심이론 공부 Part. 6 : #21. 자바스크립트 ~ #23. 자바스크립트 브라우저 내장객체 (0) | 2021.01.12 |
---|---|
웹디자인기능사 필기핵심이론 공부 Part. 5 : #17.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 #20. DHTML, CSS, XML (0) | 2021.01.10 |
웹디자인기능사 필기핵심이론 공부 Part. 3 : #10. 색의 대비와 효과 ~ #12. 색채조화와 배색 (0) | 2021.01.09 |
웹디자인기능사 필기핵심이론 공부 Part. 2 : #5. 형태의 분류와 심리 ~ #9. 표색계 (0) | 2021.01.06 |
웹디자인기능사 필기핵심이론 공부 Part. 1 : #1. 디자인 개념과 조건 ~ #4. 디자인의 요소 (0) | 2021.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