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WEB DESIGN/2021 웹디자인기능사 준비

웹디자인기능사 필기핵심이론 공부 Part. 2 : #5. 형태의 분류와 심리 ~ #9. 표색계

by DDPGO 2021. 1. 6.
728x90
반응형
728x170

- 목 차 -

#5. 형태의 분류와 심리 (출제빈도 : 중)

#6. 디자인의 원리 (출제빈도 : 상) 

#7. 색의 원리 (출제빈도 : 중)

#8. 색의 혼합 (출제빈도 : 중)

#9. 표색계 (출제빈도 : 상)


#5. 형태의 분류와 심리 (출제빈도 : 중)

 

1. 형태의 분류와 심리

 

이념적 형태 : 개념적, 네거티브, 점, 선, 면 입체와 같은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 세잔(Cezanne)이 사용

현실적 형태 : 실제로 지각되는 구성적 형태, 포지티브, 자연적형태(유기적), 인위적 형태(기능적)

 

* 게슈탈트 법칙 (군화의 법칙) 막스 베르타이머가 발견한 원리

 - 형태는 근접, 유사, 폐쇄, 연속된 속성을 가진 형태들이 심리적으로 보기 좋다.

 

근접원리  가까이 있는 것들끼리는 무리처럼 보이는 원리
유사원리  유사한 형태, 색채, 질감을 가진것끼리 무리처럼 보이는 원리
연속원리  비슷한것끼리 연속으로 있을 때 무리처럼 보이는 원리. 점들이 배열이 연속되면 선처럼 보여지는것
폐쇄원리  닫혀있지않은 도형이 심리적으로 닫혀 보이거나 무리지어 보이는 원리

 

그 외 대칭의 법칙 : 대칭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그룹처럼 보이는 원리. 예를 들어 괄호  [  ]

공동운명의 법칙 :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것들을 묶어서

 

 

* 시지각의 향상성 : 크기, 형태, 밝기, 색상 등이 바뀌어도 원래대로 지각됨

 

 

 

* 착시

길이의 착시 화살표 방향에 따라 달라보여
대비의 착시 주변 원 대비로 크기가 면적이 달라보여
분할의 착시 분할된 선, 면이 분할안된것보다 더 길어보여
각도와 방향의 착시 사선으로 인해 평행선이 기울어져 보여
수평-수직의 착시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어보여
상방거리 과대 착시 위쪽 도형이 더 크게보여

 


#6. 디자인의 원리 (출제빈도 : 상)

1. 균형과 조화

 

* 균형 : 부피, 중량 등 물리적인 구조와 색채 등으로부터 시각적인 안정감을 준다.

 - 대칭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시각적인 균형 요소로는 색상, 명암, 크기, 질감, 위치 등이 있다.

대칭 수직 또는 수평 축에 의해 같은 중량감으로 배분. 질서, 안정감, 통일감. 선 대칭, 방사 대칭, 이동 대칭, 확대 대칭
비대칭 대칭이 아니지만 비중이 안정됨. 자유로움, 개성적, 활동감

 

 

* 비례 :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사이의 상호 관계에 의한 일정한 비율

등차수열 비례 같은 간격으로 일정하게
1, 3, 5, 7, 9
 
등비수열 비례 같은 비율로 일정하게
2, 4, 8, 16
 
황금 비례 가로와 세로 비율이 1:1.16484 일 때
그 외...
- 정수 비례 : 비의 값이 정수인 비례
- 루트 비례 : 한변과 다른 변 비율이 루트로 나오는 비례

 

 

* 주도와 종속 : 비대칭적인 균형감

 

* 조화 : 조화를 이루는 것~

 - 통일감, 변화, 균형감이 안정적으로 결합

 - 유사 조화 : 같은 성질끼리 조화. 단조로울 수도

 - 대비 조화 : 다른 성질끼리 조화. 대립 극적효과, 긴장감

 

 

2. 율동

 

* 반복과 교차 : 형태나 색채를 주기적, 규칙적으로 배열

 - 규칙적인 특징을 반복 교차시키는 데서 율동이 나타나

 

* 점이와 방사

 - 점이(점층) : 크기나 색채가 점진적 변화. 반복보다 더욱 복잡하고 강한 운동감. 그라데이션(Gradation)

 - 방사 :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전개. 수면 위 동심원

 

 

* 통일과 변화

 - 통일 : 하나의 규칙. 질서. 지루

 - 변화 : 통일의 일부에 변화. 흥미. 지나치면 무질서

 

* 강조와 대조

 - 강조 : 단조로움 피하기 위해서 일부를 다르게. 비대칭적 균형 - 자연속의 강조 : 녹색 잎들 속에 파묻힌 빨간 꽃 한 송이                

 - 대조 : 서로 다른 영역 대립. 강렬한 디자인 제작.

 

 


#7. 색의 원리 (출제 빈도 : 중)

 

★색의 정의와 물체의 색이 무엇인지. 스펙트럼에 대해서 중요

 

1. 색의 정의

 

* 색과 색채

 - : 눈의 망막이 빛의 자극을 받아 생기는 물리적인 지각 현상

 - 색채 : 눈을 통해 지각된 색에 대해 심리적인 지각 현상이 더해진 것

 - 유채색 : 유채 광각 색 느낌

 - 무채색 : 못느낌

 

* 빛

 - 가시광선 : 눈에 보이는 범위 380나노미터~780나노미터 사이. 무지개빛. 스펙트럼

 - 적외선 : 780나노미터 이상의 긴 파장. 라디오 전파도 포함

 - 자외선 : 380나노미터 이하의 짧은 파장. 엑스레이.

 

* 스펙트럼 : 프리즘을 이용 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되어 연속광으로 나타낸 것.

 - 뉴턴은 색채를 과학적으로 정리. 7색으로 분리

 

2. 물체의 색과 색의 종류

 

* 물체의 색 : 물체가 색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여

 

* 색의 종류

 - 표면색 : 불투명한 물체가 빛을 반사시켜 나타나는 물체의 색. 녹색 물체는 녹색을 반사시키므로 녹색으로 보인다.

 - 투과색 : 투명한 물체가 투과시킨 색. 녹색 유리는 녹색 빛만 투과

 - 광원색 : 광원(빛의 근원)에서 나오는 빛을 눈으로 볼때 느껴지는 빛 자체 색. 

 - 거울색 : 완전 빛 반사

 - 금속색 : 강한 반사로부터 나타나

 -  기타 등 등. 공간 색 등 등...

 

* 색의 지각과 효과

 - 색의 지각 : 빛(광원), 물체, 시각(눈), 색을 보기 위한 노출(노출시간)이 필요.

 - 색채 지각의 3요소 : 빛, 물체, 시각

 

3. 색의 지각과 효과

 

* 색 지각설

 - 3원색설 : 영과 헬름홀츠의 가설. RGB을 3원색으로 색을 지각한다는 설

 - 반대색설 : 헤링의 가설. RGYB(각 각 보색)의 4원색으로 색을 지각한다는 설

 

* 색의 지각 효과

 - 항상성 : 빛의 강도나 조건이 변해도 색이 본래색 유지하려는 특성

 - 연색성 : 광원에 따라 색상이 달라 보이는 현상

 - 색순응 : 색에 순응되어 다른 환경에서 색의 지각이 약해짐. 선글라스 끼고 있어도 선글라스 색 안느껴짐.

 - 명암순응 : 밝은곳에 있다가 어두운곳 가거나 또는 반대로 가거나 할 때 처음에는 잘 안보이다가 점차 잘보이는 현상.

     - 명순응 : 어두운곳에서 밝은 곳으로~ 암소시-> 명소시 (명암, 형태, 색상까지 식별)

     - 암순응 : 밝은곳에 있다가 어두운 곳으로~ 명소시 -> 암소시 (명암, 형태 식별)

 - 조건동색(메타메리즘) : 두가지 다르 색이 하나의 색으로 보이게 됨

 - 푸르킨예 현상 : 암순응 될때 파랑, 빨강의 명도 차이가 생긴느 현상

     - 빛이 강할 때는 장파장, 빛이 약할 때는 단파장의 빛이 강도가 좋아짐. 어두운 곳에서는 빨강보다 파랑이 밝게 보임. 비상표시등이 초록색인 이유

 - 박명시 : 푸르킨예현상이 일어남. 명소시와 암소시의 중간 무렵에 추상체와 간상체가 동시에 활동해서 물체의 상이 흐리게 보인다.

 


 

#8. 색의 혼합 (출제빈도 : 중)

1. 색의 속성

 

* 색의 3속성

 - 색상 : 색상환에 배열된 색을 의미. 우리나라는 먼셀의 표준 20색상환 사용

 - 명도 :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 그레이스케일. 유채색 무채색도 명도 있음

 - 채도 : 색의 선명도. 다른색이나 무채색을 혼합하면 채도는 낮아짐

 

* 채도의 구분

 - 순색 : 채도가 가장 높은 색

 - 청색 : 순색에 흰색 또는 검정 혼합. 맑게 보여. 명청색(순+흰)과 암청색(순+검)으로

 - 탁색 : 청색이나 회색 혼합. 탁해 보여

 

2. 색명법과 색의 혼합

 

* 색명법 : 색에 이름 붙히는 것

 - 기본색명 : 표색계에 의해 규정

 - 일반색명

      - 표색계를 사용하여 기호나 이름으로 표현. 빨강 Red R처럼.

      - 명도나 채도를 수식어로 붙혀 표현. 어두운 파랑, 연보라 등

      - 색을 정확히 표현

      - 계통색명

      - 색상, 명도, 채도 표현

 - 관용색명

      - 관습적, 연상적 느낌으로 이름 붙힘

      - 귤색, 밤색 등 고유 이름 코발트 블루..

      - 인명, 지명, 원료, 자연, 식물 등에 따라 달라짐

      - 정확성 떨어져

      - 한번에 습득 어려움

 

 

색의 혼합(출제빈도가 높다. 가산혼합과 감산혼합의 구별)

 

* 가산혼합 : RGB(Red, Green, Blue) 색광혼합

 - 빛 = 가산 합칠수록 밝아져!

 - 빛이라서 더하면 더할 수록 밝아져

 - 컬러 티비, 조명

 - RGB = W

 - RG = Y

 - RB = M

 - BG = C

* 감산혼합 :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색료혼합

 - 색 = 감산 합칠수록 탁해져!

 - 더할 수록 어두워짐

 - CMY = K

 - MY = R

 - MC = B

 - YC = G

* 중간혼합 : 두가지 이상을 병치 시켰을 때 혼합된 것처럼 보여

 - 혼합된 두 색상의 평균 명도로 나타냄

 - 회전 혼합 : 색팽이 혼합. 회전하면서 하나의 색으로 보임

 - 병치 혼합 : 선이자 점이 조밀하게 교차 나열 되었을 때 인접한 색끼리 혼합된것처럼 보임

 

 

 


 

#9. 표색계 (출제빈도 : 상)

1. 표색계

 

* 표준 색상환(또는 색환)

 - 색채를 구별하기 위해 비슷한 색상을 규칙적 배열

 

 - 유사색(인접색, 근접색) : 유사색계. 가까이 있는 색상들. 빨강 이웃은 주황이나 노랑

 - 보색(반대색) : 가장 먼거리에 있는 색상. 빨강과 청록. 노랑과 남색. 연두와 보라. 두개 섞으면 검정에 가까운 무채색

 - 근접 보색

 - 먼셀의 표준20색상환

 

 

* 표색계(Color System) : 물체색을 표시하는 색상 체계

 - 물리적이고 수치와 같은 방법과 시감각적으로 색을 측정 표시.

 

 - 현색계 : 색의 3속성에 따라 물체의 색에 기호나 번호를 붙여 표현. 먼셀 표색계와 오스발트 표색계.

 - 혼색계 : 물리적이고 수치적인 빛의 혼합에 기초를 두어 색표를 정하는 방법.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는 점 CIE(극제조명위원회) 표색계

CIE 표

 

2. 먼셀, 오스트발트, CIE 표색계

 

* 먼셀 표색계 (Munsell Color System)

 - 미국의 화가이자 색채 연구가 먼셀이 구성

 -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3속성 사용. HV/C

 

색상, 명도, 채도를 쉽게 알아보게 만든 3차원 형태의 입체 모형

모든 물체색이 포함

바깥쪽으로 갈수록 순색

수직 - 보색

중심축은 명도

명도의 단계는 11단계 (고, 중, 저명도로 구분)

채도는 0, 2, ... 2단계씩 구분  

모든 색상의 채도 위치가 달라서 배색 채계의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

 

 

 

* 오스트발트 표색계 (Ostwald Color System)

 - 독일의 물리화학자 오스트발트가 구성

 - 한 색상에 표현되는 B(Black) + W(White) + C(Color) = 100%가 되는 혼합비로 규정

 

 -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세 가지 요소

1. Black : 빛 완전 흡수

2. White : 빛 완전 반사

3. full Color :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 나머지는 흡수

 

 

* CIE 표색계 (CIE Color System)

 - 1931년 국제조명위원회에서 고안한 국제적 기준

 - 가산혼합의 원리

 - CIE 표색계에서 스펙트럼 가시광선은 380나노미터~780나노미터의 파장 범위를 가진다.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

먼셀 표색계의 특징을 알야하고 그 중에서도

 - 채도 단계, 명도 단계 : 채도는 바깥쪽으로 갈 수록 선명해지고(2단계씩 점프), 명도는 아래로 갈수록 어두워짐(11단계)

 - 분류 색상의 뭔지

 - 색입체의 명칭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기억해야할 두가지

 -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 B + W + C = 100%

 - 해링의 4원색설을 기본.

 

 

 

목차로 이동하기

 

to be continued...

 

★자료출처 및영상참조 : 유튜브 이기적영진닷컴

youtu.be/EG-ERdkWEs4?list=PLaVgeQDDXCGIGWUPpuzhzNFtJa8_ZnFPY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