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MYSELF/내맘대로 BUS

부산 서면~충무동 BRT 구간 개통!! (2021년 12월 20일~)

by DDPGO 2021. 12. 18.
728x90
반응형
728x170

BRT란 무엇인가

Bus Rapid Transit

도로위의 지하철...이라고 하는 이름에도 Rapid(빠른, 신속한)가 들어있듯이 도로위에 특정 구간을 정해놓고 해당 구간에서는 버스가 운행하는것이다.

 

예전에 서울에서 시작된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부산으로도 내려와 곳곳에 시행되기 시작했었다.

아주 대표적인 곳이 하단 지하철역앞인데 을숙도 대교 진입 전인 구간으로 복잡하기도 한 이 곳에 BRT를 설치함으로써 일반 차량과 버스를 구분지어 복잡하지 않게 되어 좋은 효과를 본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중에 연산동, 부산시청 일대에도 생기고 지금 곧 개통하는 바로 이곳..!

 

운행 구간이 변경되는 곳은 바로

 

1. 서면 복개로 -> 서면 교차로

 

바로 이 구간. 큰 도로가 있는 태화백화점앞쪽이 아닌 롯데백화점과 태화백화점 사이 이 길인데 여기 구간을 지나가게 되면 부산진초등학교 앞을 지나 범내골 방향으로 빠지는데, BRT로 진입하기가 힘들어져서 아래 네 개 버스는 서면교차로 쪽으로 운행한다고 한다.

 

108번 (민락~엄궁)

138번 (장림~용당)

167번 (동서대학교~동아대병원)

168번 (용당~녹산)

 

 

현재 이렇게 지나가지만 이젠 서면교차로 한방향이라는 것이다.

이미지 출처 bus.busan.go.kr

 

 

2. 서면 교차로 -> 전포역

 

133번 (연제공용차고지~만덕)

 

만덕에서부터 사상을 지나 서면을 지나 초읍으로 가서 연제공용차고지로 가는 버스인데

전에 초읍간다고 사상에서 이거 탔다가 당황했음.

노선 안보고 탔는데 서면을 가긴 가는데 NC백화점에서 한전으로 해서 무슨 한바퀴를 돌고 올라가는게 아닌가;;

아무튼 그 빙~ 도는 그 구간!

이 구간에서 어려운곳이 바로 범내골 교차로에서 상공회의소 쪽 좌회전 운행이 어려워 이젠 그 쪽으로 가지 않는다고 한다.

서면교차로에서 전포역까지 간 후 다시 한바퀴 돈다고 한다.

요렇게

이미지 출처 bus.busan.go.kr

3. 고관로 -> BRT

 

일제시대의 잔재라고 할까 고관로 이 길로의 운행하는 노선 중 아래 버스들의 운행구간이 바뀐다고 한다.

부산진역에서 부산역으로 갈 때 고관로로 가지 않고, 그냥 바로 직진~

그래야 BRT를 지나므로 그러하다.

 

이 길을 지나가는 버스는 많다. 

 

17 (신평~당감)

26 (감만~송도)

27 (용호~충무)

43 (회동~중앙공원)

59 (금곡~부산역)

61 (신평~서부터미널)

66 (태종대~당감)

67 (동서대~엄궁)

81 (연제공용차고지~서대신)

82 (청학~전포)

85 (청학~서면)

88 (태종대~당감)

101 (태종대~감만)

134 (용당~남부민)

167 (동서대~동아대병원)

1004 (김해~국제여객터미널)

1004심야 (김해~서구청)

 

위 버스들이 해당된다.

이미지 출처 bus.busan.go.kr

 

4. 초량 구간 일부 변경

 

이 버스들은 BRT설치로 인해 교통처리 체계개선상 이유로 일부 사라진 좌회전 구간들 때문에 경로가 바뀐 버스들이다.

 

그리고 이는 초량동 윗쪽에 사는 지역의 대중교통 편의를 위한 것이라고 한다. 

 

87번 (토곡~아미 까치고개)

508번 (청학~중앙공원)

 

 

현재 87번은 부산역에서 서면쪽으로 갈 때 다른 버스와는 달리 수정동으로 해서 그 구간들을 지난 후 가야로 빠져나와 서면으로 가고 있다.

그러다보니 수정동으로 갈 때 고관로로 운행하는데 

고관로 양방향 운행이었다. (17번과 같은 버스처럼 갈 때와 올 때가 다른 구간이 아니라 같다.)

하지만 BRT로 인해

고관로로 갈 때 이렇게 바뀐다는 것이다.

이미지 출처 bus.busan.go.kr

 

위로 올라간다음 내려온다는 말인데, 그 전에 유턴으로 방향을 바꾼다는 것이다.

BRT설치된 구간을 피하는것도 있고, 위쪽에 초량주민들을 위한 것도 있고~

그래서 버스 운행 구간은 더 늘어난다.

 

 

그리고 영도 청학동에서 초량을 지나 중앙공원과 민주공원쪽으로 가는 508번은 약간 다르긴 한데

현재 이렇게 가는 코스를

이미지출처 bus.busan.go.kr

이렇게 바꾸는 것이다.

위로 올라가는 구간의 변함이 없는데 내려 올 때 저 빨간 라인으로 내려온다고 한다.

(아까는 다른 버스들은 고관로 안가는거 아닌가 뭐지)

 

 

 

5. 그 외

 

그 외 구간으로는 

 

113번 (영도중리~신평)

 

서구청에서 자갈치시장 진입하는 이 구간을

이렇게 바꾸는것이다. 아무래도 BRT때문에 바로 저 사이로 못가니

27번과 같이 돌아서 가는것이다.

이미지 출처 bus.busan.go.kr

 

583번 (용당~시민회관)

 

583번이 진시장에서 자성대교차로로 해서 운행하던 이 구간을

 

이미지 출처 bus.busan.go.kr

 

이렇게 바꾸는것이다.

 

 

 

이 모든것은 BRT로 인해 운행의 어려움이 있기때문에 변경되는 부분이고,

많은 시민분들이 버스 타는것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지않길 바란다.

 

나 또한 뚜벅이 인생으로 이런 것에 관심이 많아 블로그에 글을 남긴다.

 

(어서 빨리 하단~사상 지하철이나 생겼으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